전갈자리 X-1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전갈자리 X-1은 1962년 최초로 발견된 태양계 밖의 엑스선 천체이다. 저질량 엑스선 쌍성으로, 중성자별과 동반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중성자별이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끌어당겨 강착 원반을 형성하여 엑스선을 방출한다. 18.9시간 주기로 밝기가 변동하는 변광성이며, 구상성단 내에서 두 항성이 만나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엑스선원 천체 - NGC 4151
NGC 4151은 중심부의 거대한 블랙홀과 주변 가스의 상호작용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은하이며, 엑스선 방출은 주변 가스의 성질 변화와 별 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. - 엑스선원 천체 - 조석교란
조석교란은 별이 초대질량 블랙홀의 조석력에 의해 파괴되는 현상으로, 파괴된 물질 일부가 블랙홀에 흡수되어 빛을 방출하며, 휴면 블랙홀의 존재를 드러내는 현상으로 연구되고 있고, 2024년 5월 기준으로 약 100건의 사건이 보고되었다. - 엑스선 쌍성 - 백조자리 X-1
백조자리 X-1은 블랙홀 후보로 여겨지는 밀집성과 청색 초거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로, 5.6일 주기로 공전하며 강착 원반과 제트를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는 마이크로퀘이사이다. - 엑스선 쌍성 - M82 X-2
M82 X-2는 동반성에서 물질을 끌어당기는 강착 중성자별의 활동으로 발생하는 초고광도 엑스선원으로, 매우 밝은 엑스선을 방출하는 천체이다. - 중성자별 - 마그네타
마그네타는 강력한 자기장을 지닌 중성자별로, 별 지진과 X선 및 감마선 폭발을 일으키며 연성 감마선 반복자나 이상 X선 펄서와 관련이 있고 초신성 폭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. - 중성자별 - SGR 1806-20
SGR 1806-20은 궁수자리 방향 5만 광년 거리에 위치한 마그네타로,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며 1979년 감마선 폭발로 처음 발견되었고, 2004년 지구 전리층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폭발을 일으키기도 했다.
전갈자리 X-1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별자리 | 전갈자리 |
적경 | 16h 19m 55.07s |
적위 | −15° 38' 24.8" |
겉보기 등급 | 12.2 |
거리 | 약 9,000 광년 (약 2,800 파섹) |
발견 | |
발견자 | 리카르도 자코니, 허버트 거스키, 프랭크 R. 파올리니, 브루노 B. 로시 |
발견일 | 1962년 6월 19일 |
명칭 | |
다른 이름 | 전갈자리 V818별 |
2. 발견
1962년 6월 19일, 리카르도 지아코니 연구팀은 고감도 엑스선 감지기를 탑재한 에어로비 150 로켓을 발사하여 태양계 외부에서 최초로 엑스선 천체를 발견했다.[23][29] 로켓 궤도가 일부 이탈했음에도 불구하고, 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 엑스선이 J1950 적경 16시 15분, 적위 -15.2도 지점에서 감지되었다.[5][29] 초기에는 장비의 낮은 분해능으로 인해 천체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지 못해 은하수 중심에 위치할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.[4][30] 이후 추가 실험을 통해 천체가 전갈자리에 위치함이 밝혀졌고, 전갈자리에서 최초로 발견된 엑스선 천체라는 의미로 "전갈자리 X-1"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.[28][30]
2. 1. 초기 연구
1962년 6월 19일, 고감도 엑스선 감지기를 단 에어로비 150 로켓이 발사되어,[23] J1950 적경 , 적위 지점에서 태양계 바깥의 엑스선 천체가 최초로 발견되었다.[29] 이 천체는 전갈자리에서 최초로 발견된 엑스선 천체라는 뜻으로 전갈자리 X-1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.[28][30]이 장비는 원래 달의 엑스선을 관측하기 위해 시준기가 장착되지 않아 분해능이 낮았기 때문에, 천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.[30] 이 때문에 처음에는 천체가 은하중심에 위치할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.[30] 같은 해 10월 은하중심이 지평면 밑에 있을 때 실험을 반복했지만 엑스선 천체는 감지되지 않았고, 1963년 6월에 다시 실험한 끝에 천체가 전갈자리에 위치함이 밝혀졌다.[28][30]
1967년, 펄사가 발견되기 전, 이오시프 쉬클로프스키는 전갈자리 X-1의 가시광 및 엑스선 관측 결과를 통해 복사선이 중성자별의 강착 원반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.[31]
3. 특성
전갈자리 X-1은 저질량 엑스선 쌍성(LMXB)으로, 중성자별과 동반성으로 구성된 쌍성계이다. 중성자별의 질량은 약 1.4 태양질량, 동반성의 질량은 약 0.42 태양질량으로 추정된다.[32] 엑스선 방출량은 로, 태양 총 광도의 약 6만 배에 달한다.[27]
3. 1. 엑스선 방출 메커니즘
전갈자리 X-1은 중성자별로, 강력한 중력으로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을 끌어당겨 강착 원반을 형성한다.[3] 강착 원반에 모인 물질은 결국 중성자별 표면으로 떨어지면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한다. 이때 전갈자리 X-1의 중력장에서 물질이 가속되면서 엑스선이 방출된다.[3] 전갈자리 X-1의 측정된 광도는 에딩턴 한계에서 물질을 강착하는 중성자별과 일치한다.[3] 전갈자리 X-1의 엑스선 방출량은 2.3E로, 태양 총 광도의 약 6만 배에 달한다.[2]3. 2. 변광성
전갈자리 X-1은 18.9시간을 주기로 겉보기등급이 1등급 가량 변동하는 변광성이다. 가시광 대역에서도 불규칙적인 파장 변화가 나타나지만, 이는 엑스선의 변동과는 관련이 없다.[28]
3. 3. 구상성단 기원 가능성
전갈자리 X-1을 구성하는 두 항성은 구상성단 안에서 서로 만나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, 동시에 생성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.[33]참조
[1]
웹사이트
V* V1357 Cyg—High Mass X-ray Binary
http://simbad.u-stra[...]
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
2003-03-03
[2]
논문
High-Resolution Parallax measurements of Scorpius X-1
1999
[3]
논문
Evidence for X-rays from sources outside the solar system
1962
[4]
서적
Stars: Their Birth, Life, and Death
https://archive.org/[...]
W.H. Freeman
1978
[5]
논문
Nobel Lecture: The dawn of X-ray astronomy
2003-08
[6]
웹사이트
A Brief History of High-Energy Astronomy: 1960–1964
http://heasarc.gsfc.[...]
2006-09
[7]
웹사이트
Chronology—Quarter 2 1962
http://www.astronaut[...]
[8]
논문
Observational results of X-ray astronomy
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
1965
[9]
논문
On the Nature of the Source of X-Ray Emission of SCO XR-1
1967-04
[10]
논문
The Mass Donor of Scorpius X-1 Revealed
2002
[11]
논문
The origin of Scorpius X-1
2003
[12]
웹사이트
V* V1357 Cyg -- High Mass X-ray Binary
https://simbad.u-str[...]
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
2003-03-03
[13]
논문
High-Resolution Parallax measurements of Scorpius X-1
[14]
논문
Evidence for X-rays from sources outside the solar system
[15]
서적
Stars: Their Birth, Life, and Death
https://books.google[...]
W.H. Freeman
[16]
논문
Nobel Lecture: The dawn of X-ray astronomy
[17]
웹사이트
A Brief History of High-Energy Astronomy: 1960 - 1964
http://heasarc.gsfc.[...]
2009-12-21
[18]
웹사이트
Chronology - Quarter 2 1962
http://www.astronaut[...]
2009-12-21
[19]
논문
Observational results of X-ray astronomy
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
[20]
논문
On the Nature of the Source of X-Ray Emission of SCO XR-1
1967-04
[21]
논문
The Mass Donor of Scorpius X-1 Revealed
[22]
논문
The origin of Scorpius X-1
[23]
웹인용
A Brief History of High-Energy Astronomy: 1960–1964
http://heasarc.gsfc.[...]
2006-09
[24]
저널 인용
Evidence for x Rays From Sources Outside the Solar System
https://journals.aps[...]
1962-12-01
[25]
웹인용
Chronology—Quarter 2 1962
http://www.astronaut[...]
2010-01-18
[26]
simbad
sco x-1
2019-04-12
[27]
저널 인용
High-Resolution Parallax measurements of Scorpius X-1
1999
[28]
서적 인용
Stars: Their Birth, Life, and Death
https://books.google[...]
W.H. Freeman
1978
[29]
저널 인용
Nobel Lecture: The dawn of X-ray astronomy
2003-08
[30]
저널 인용
Observational results of X-ray astronomy
"[[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]]"
1965
[31]
저널 인용
On the Nature of the Source of X-Ray Emission of SCO XR-1
1967-04
[32]
저널 인용
The Mass Donor of Scorpius X-1 Revealed
2002
[33]
저널 인용
The origin of Scorpius X-1
2003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